본문 바로가기

기초연금,국민연금

2026년 공적연금 인상률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국민연금, 기초연금 3월초 현재 인상액(3월 소비자물가자수 발표)

반응형

안녕하세요? 항상 창조적인 정보를 제공해 드릴려고 노력하는 연금봉급TV입니다.

방금전 통계청에서 2025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어 이것을 토대로 2026년 공적연금인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국민연금, 기초연금 인상률은 3월초 현재 이만큼 인상되었다는 내용을 살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월소비자물가지수는 115.71이였는데 2월소비자물가지수는 116.08로 전월대비 0.3%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 2.0% 상승하였습니다.

 

주요부분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동월비를 살펴보면

□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8% 상승했습니다.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9% 상승했고

 

□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6% 상승했으며

□신선식품지수는 다행이도 전년동월대비 마이너스 1.4%로 하락하였습니다.

 

 

지난달 2025년 1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2%상승했지만 누적평균 물가상승률은 1.3%였습니다.

 

 

이로인해 1월 한달간 2026년 공적연금 예상 인상률도 최소1.3%정도 인상이 되어 현재 공무원연금으로 300만원을 받고 있는 분들은 1월 한달사이에 303만9천원 정도까지 최소 인상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2024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16.08이 되어

전년 동월대비 2.0%가 상승하였지만 평균소비자물가지수는 1.5%가 되어 2026년 공적연금 예상률도 최소1.5%는 인상이 된셈이 되어

 

현재 공무원연금으로 300만원을 받고 있는 분들은 2월달까지 내년1월에 최소 4만5천원 정도는 인상되어 3월초 현재 304만5천원까지 올라 있는 셈이 되었습니다.

 

 

3월부터 12월까지의 물가가 전혀 오르지 않아 동결이 된다고 가정해 보면

2025년 물가는 그래도 1.6%는 최소 오르게 되어 있어 2026년 공적연금 인상률도 무조건 1.6%이상은 인상되므로 공무원연금으로 현재 300만원을 받고 있는 분들은 내년에 아무리 못올라도 올해 12월말까지 최소4만 8천원정도는 인상이 되어 있는 상태라고 볼수가 있겠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올해 12월까지 물가가 매월 동결되기는 사실상 어려우므로

 

과거 통계치로 볼 때 매월 소비자물가지수가 평균 0.15 이상씩은 상승하기 때문에 매월0.15씩 오른다고 가정할 때 12월 최종물가는 2% 이상까지 상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은행에서 2025년도 최종물가 전망을 1.8% 상승에서 1.9%상승으로 수정하여 전망하였으나 3월초 현재 연금봉급 TV에서 전망을 해 보면 2025년 물가 상승률은 한국은행보다는 조금 더 상승한 2% 이상까지 상승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2026년 공적연금 인상률은 2월말 현재 최소 1.5%까지 올라있는 셈이지만

12월까지는 물가가 계속 동결이 된다 하더라도 최소1.6%까지는 오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공무원연금으로 300만원을 받고 계신분들은 2026년도에 받게 될 공무원연금액은 아무리 못올라도 4만 8천원이 인상된 304만 8천원 이상은 받게 된다는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소비자물가 지수에 대한 소식은

2025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는 4월 2일 수요일 오전에 또 찾아 뵙기로 약속을 드리면서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