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연금,국민연금

기초연금,공무원연금,국민연금,사학연금,군인연금등의 공적연금 인상률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2년도가 서서히 저물어 가는 것을 알리는지 달력도 이젠 한장 밖에 남지 않았네요.

 

오늘은 통계청에서 11월달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는데 이것을 토대로 2023년 기초연금, 공무원연금, 국민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등의 공적연금에 반영되는 인상률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1월 소비자물가 동향

 

10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였는데 오늘 발표한 11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으로 전월대비 0.1%가 하락 했고, 전년동월대비 5.0%가 인상되었습니다.

 

< 소비자물가지수 주요 등락률 추이 1>

 

<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 추이2 >

11월말 현재 예상 인상률

첫째, 2022년 소비자물가지수 인상률에 따른 2023년도 공적연금 인상률 예상치에 대한 12월초 현재까지의 인상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달인 10월말까지 전년 누계비는 5.1%가 되었고, 2023년 공적연금 예상 인상률은 11월 말까지 현재 4.9%가 인상이 된 셈입니다.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동결시

둘째,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1월과 같은 수치로 동결이 된다고 가정해 보고 2023년도 공적연금인상률을 예상해 보면

12월 누적평균지수는 107.70이 되어 전년누계비가 5.1%가 되겠고, 공적연금 예상인상률은 5.1%로 최종 확정이 되는 것입니다.

 

12월 작년 수준의 소비자물가지수 인상시

셋째,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인상률이 작년 수준으로 인상이 된다고 가정하면 12월 최종 예상인상률은 5.1%로 확정이 되는 것입니다.

2022년과 2023년 인상률 추이 비교

다음은 1년간 공적연금 인상률 예상 추이를 작년 수치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란색 선은 2022년도 공적연금 인상률 추세선이고 빨간색 선은 2023년도 인상될 공적연금 인상률 예상 추세선입니다.

 

작년에는 1월달 1%로 시작하여 12월 2.5%까지 인상되어 2.5%로 확정이 되었고, 올해는 2.1%로 시작하여 5.1%전후로 확정이 될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세계 주요 7개국의 물가지수

세계 주요 7개국의 물가가 10월말 기준 전년 동월비로 얼마나 올랐는지를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은 5.7%, 미국은 7.7% 올랐으며, 일본은 3.7%, 중국은 2.1%, 독일은 11.6%, 프랑스는 7.1%가 올랐습니다.

중국이 가장 적게 오른 편이며, 독일이 가장 많이 올랐고 우리나라는 중간정도 오른 것 같습니다.

 

오늘의 결론

결론적으로 2023년도 공무원봉급 총액인상률은 1.7%이나

2023년 공적연금에 해당되는 기초연금,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등의 인상률은 모두 똑같이 5.1% 인상이 예상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번 분석은 올해 마지막 분석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