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봉급

2023년 공무원 급수별 월급 실수령 및 연봉액 얼마나 될까?

반응형

안녕하세요?

20여일 후면 한해가 바뀌는 2023년이 계묘년 토끼띠가 됩니다.

년말이 되면 시간이 매우 빠르게 지나감을 항상 느끼게 되네요. 오늘은 2023년 일반직 공무원의 급수별로 월급실수령액 및 연봉액이 얼마나 되는지를

승진 직후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9급 신규공무원, 8급 4호봉, 7급 8호봉, 6급 13호봉, 5급 22호봉인 공무원의 봉급명세서와 연봉액을 미리 살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월급 및 연봉을 분석하는데 이용된 프로그램을 다음 교사카페에서 1+1 할인행사를 하고있는 15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이 필요하신분은 메일로 주소로 주문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먼저 2023년 신규공무원의 월급과 연봉액을 먼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봉급표는 총액인상률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본급인상률로 만들어지므로 2023년 공무원봉급 총액인상률은 1.7%이지만 기본급인상률은 1.972% 내외로 인상이 예정되므로 여기서는 대략적으로 1.972%를 입력하겠습니다. 차후에 다기본급 인상률이 확정되면 변경된 인상률로 수정하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2023년 9급 신규공무원의 월급명세서를 작성해 보면

1월 1일 기준으로 급수는 9급이고 호봉은 1호봉, 재직년수는 0년이 되겠고, 전년도 7월부터 12월까지 월급받은 경우가 아니므로 0개월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호봉 승급월은 임용전 경력이 없다면 첫해에는 호봉승급이 없으므로 없음을 선택하겠고, 성과급 등급도 전년도에 재직하지 않았으므로 없음을 선택하고, 성과급 지급액월도 올해는 없음을 선택하겠습니다.

 

보전수당 및 직책수당은 없는 것으로 하여 0원을 선택하겠고, 2023년도의 설날과 추석은 1월과 9월에 있으므로 각각 선택하고, 신규이므로 가족수당은 0우너으로 선택을 하겠으며, 민원수당은 받는분도 있고 받지 못하는 분도 계시겠지만 다른 기타 수당도 있을수 있으므로 공통적으로 5만원을 입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액급식비는 2022년에는 14만원이었으나 2015년에는 몇만원 인상되겠지만 여기서는 기존 금액인 14만원을 임시로 입력해 놓도록 하겠습니다.1월에 인상액이 확정되면 정액급식비를 클릭하여 수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연가보상비는 연가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남은 연가일수에 대하여 연가보상비로 받을수 있는 일수를 입력하면 되고, 기여금은 납부 중이므로 납입완료는 노를 선택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2023년도 신규 9급 공무원의 월별 봉급명세서와 연봉액이 자동 산출되겠습니다. 월별 실수령액을 보시면 금액이 많은 달도 있고 적은 달도 있기 마련인데 이금액들을 합산하여 12개월로 나눈 월평균 실수령액은 202만원 정도가 되고, 연봉액은 2천8백만원 정도가 되겠습니다.

 

여기서 부연해서 2가지만 더 말씀드리면 첫째, 이렇게 해서 봉급명세를 만들었는데 1월에 발표되는 기본급인상률이 1.915%로 확정이 되었다고 하면 화면 좌측상단에 있는 기본급인상률란에 1.915%를 입력하면 봉급실수령액 및 연봉등이 자동으로 완성이 됩니다.

 

둘째, 신규공무원이 1월 1일자로 발령이 나면 좋겠으나 꼭 그렇게 나지 않고 중간에 발령이 나기 때문에 예를 들면 2월 5일날 발령이 났다고 가정하면 이번에는 오른쪽 상단에 있는 근무기간란에 시작일을 발령일자로 입력해 주면 되는데 여기서는 2023년 2월 5일 발령일로 가정하여 입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니 1월엔 근무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1월 봉급명세서는 없게 되고, 2월달 수당들도 자동으로 일할 계산이 되는 것을 알수가 있겠습니다.

 

다음은 8급 4호봉의 월급명세서를 간단히 살펴보면

1월 1일 기준 입력시 급수는 8급, 호봉은 3호봉, 기준년수는 3년, 이전년도 월급받은 개월수 6개월, 호봉승급월 2월, 성과등급 A등급, 성과급지급월 3월, 나머지는 이전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그대로 두겠습니다.

결과를 살펴보니 월평균실수령액 256만원, 연봉액은 3천6백만원 정도가 되겠습니다.

 

셋째, 7급 8호봉의 봉급명세서와 연봉액을 작성해 보면

급수 7급, 호봉 7호봉, 재직년수 8년, 가족수당은 결혼을 해서 배우자 4만원과 첫째아이 2만원, 둘째아이 6만원으로 생각하여 12만원을 입력하겠고 나머지는 동일 하므로 결과를 살펴 보면

월평균실수령액은 340만원, 연봉액은 4천9백만원정도가 되겠습니다.

 

넷째, 6급 13호봉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입력하는 방법은 마찬가지이고 차이 나는 부분만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급수 6급, 호봉 12호봉, 재직년수14년이고, 나머지 조건은 모두 동일하므로 결과를 살펴보면 월평균 실수령액은 425만원, 연봉액은 6천2백만원 정도가 되겠습니다.

 

다섯째, 5급 22호봉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몇가지만 수정하면 되므로 급수 5급, 호봉 21호봉, 재직년수 24년이고, 나머지 조건은 동일하므로 결과를 살펴보면

월평균 실수령액은 550만원, 연봉액은 8천4백만원이 되겠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인에게 해당하는 몇가지 조건만 입력해 주면 되므로 예비공무원이나 승진을 앞둔 공무원이나 새해를 설계하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사자는 적게 받는다고

생각하는 이유

그런데 이렇게 자세히 말씀드렸는데도 오해를 하시고 댓글에 그렇게 많이 받지 못하는데 거짓말을 하지 말아라 하시는 분이 계신데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의 이유를 몇가지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첫째, 1년간 실수령액을 모두 합산하여 12개월로 나눈 월평균 실수령액으로 말씀드렸는데 가장 적게 받는 4월이나 5월달 금액으로 비교하시는 분이 계시더라고요.

 

둘째, 예를 들면 공제액중에서 공제회비는 저축이나 마찬가지인데 공제액을 제외하고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만으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본인이 실제 받는 돈을 공제회에 적금들어서 빠져 나가는 돈을 제외하고 말씀하시면 안되겠지요.

 

오늘의 정리 사항

오늘 핵심 사항을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기본급인상률 1.972%는 정액급식비가 오르지 않았을때의 예상수치입니다.

정액급식비를 임시로 14만원으로 넣어 놓았지만 내년엔 분명히 몇만원 인상될 것으로 확신하기 때문에 1.972%보다는 실제 인상율은 낮을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올해 이미 프로그램을 구입하셔서 사용하고 계신분들은 년초에 기본급인상률을 공지드리면 공지드린 기본급인상률로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나날들 되셨으면 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https://cheoljukim.tistory.com/62

 

공무원연금 통합프로그램 ver2024 출시(교원용, 공무원용, 경찰용, 사학연금용,교수님용)

7년에 걸쳐 연구하고 고생해서 만든 공무원연금 퇴직수당 명퇴금 프로그램으로 3가지고 모두 통합되어 있는 엑셀, 한셀프로그램입니다. 공무원연금 퇴직수당 명퇴금 통합프로그램은 매년 1년전

cheoljuki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