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창조적인 정보를 제공해 드릴려고 노력하는 연금봉급TV입니다.
2025년도 9급 신규공무원의 기본급이 6.6%가 인상되었다는 사실은 매스컴을 통해서 알려진 사항인데 오늘은 2025년 9급 신규공무원의 기본급이 6.6% 인상으로 인해 월급 증가액과 연봉 증가액은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2025년도 최저임금과 공무원봉급 인상률의 관계를 살펴보면

2025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1.7%로 2024년에 최저임금은 9,860원에서 2025년도에는 10,030원으로인상이 되었으며, 최저임금 월209시간일 때 연봉액면을 살펴보면 2024년 24,728,880원에서 2025년 25,155,240원이 되어 연봉 증가액은 426,360원으로 1.7%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반변에 2025년 9급 신규공무원의 기본급은 6.6%가 증가하였는데
2024년 연봉액은 30,099,600원이었는데 2025년에 연봉액은 얼마이고, 연봉증가액과 연봉증가율은 얼마나 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2024년 9급 공무원의 급여명세서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9급 신규 공무원의 연봉액은 30,099,600원으로 매월 원천징수되는 금액을 공제하고 각종 상여금을 모두 합산하여 12개월로 나눈 월평균 실수령액은 217만원 정도였습니다.
다음은 7급 10년차의 월급명세서 내역입니다.

1년연봉액은 가족수당과 초근수당이 전혀 없이 보수적으로 1년 연봉액은 5천만원 정도이며, 상여금과 성과급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을 12개월로 나눈 월평균실수령액은 350만원정도입니다.
월급명세서 프로그램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간단하게 설명드리기 위해 7급 10년차의 월급명세서에서 9급 1호봉의 신규공무원의 월급명세로 변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무기간란에는 본인이 2025년도 근무하는 기간을 입력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1년 연봉을 살펴보기 위해 1년간 풀로 근무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본인의 급수란을 9급으로 선택하고 1월 1일 기준 본인의 호봉란을 1호봉을 선택하며, 1월 1일 기준 재직년수란에 신규이므로 0년을 선택합니다.
전년도 7월부터 12월까지 월급 받은 개월수는 신규 공무원이므로 0개월을 선택하고, 본인의 호봉승급월 선택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1월을 선택하고 성과등급은 신규이므로 없음을 선택하며,
2025년도 설날은 1월에 있으므로 1월을 선택하고 추석은 9월에 있으므로 9월을 선택합니다.
가족수당란은 배우자 40,000원, 배우자 및 자녀 제외 가족1인당 20,000원, 첫째 자녀 50,000원, 둘째 자녀 80,000원,셋째 이후 자녀 120,000원 등을 합산하여 본인에게 해당되는 금액만큼 선택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신규이므로 가족수당이 없다고 가정하고 보수적으로 0원을 선택하겠습니다.
어떤 직렬이던 대부분 별도의 수당 하나씩은 받게 되는데 민원수당이 있으면 받는 금액을 입력하고, 만약에 민원수당이 아닌 다른 수당을 받는다면 받는 수당 이름으로 수정하셔서 사용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보수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없다고 가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액급식비는 14만원 그대로 동일하므로 14만원을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시간외수당 정액분은 자동으로 반영되므로 본인이 초과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월별로 인정되는 초근시간을 직접 입력해 주면 됩니다.
만약에 3월에 10시간을 초근을 할 예정이라고 하면 다음달인 4월란에 10시간을 입력하면 초과수당란에 자동으로 금액이 반영되는데 여기서는 초근을 한시간도 하지 않은 분을 대상으로 보수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모두 0시간을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개인별로 별도의 수당이 있는 경우에는 기타수당란에 직접 입력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조건 몇가지만 선택을 하면 1년치 봉급명세서가 자동으로 완성됩니다.
지금까지 몇가지 조건만 선택해서 2025년도 9급공무원의 급여명세서가 완성이 되었는데 1년 연봉액과 월급 내역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1년간 세전 연봉액을 살펴보면 32,127,240원 정도가 되어 9급 공무원 1호봉의 연봉액은 최소 3천 2백만원을 넘게 됩니다.
월급을 받으면서 원천징수되는 금액을 소득세, 지방소득세, 기여금,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등을 모두 합산하면 매월 33만원정도가 공제가 됩니다.
설날이 있는 1월의 월급 총액은 354만원 정도에서 33만원정도를 공제하고 나면 실수령액은 321만원정도가 되겠으며, 상여금이 없는 평달인 3월의 월급총액은 245만원정도에서 매월 공제되는 33만원 정도를 공제하고 나면 평달 매월 받는 실수령액은 212만원정도가 되게습니다.
1년간 상여금과 성과급등을 모두 합산하여 12개월로 나누면 월평균실수령액은 234만원정도가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알아본것과 같이 9급~5급 공무원의 급여명세서 프로그램은 사용법이 매우 쉽고도 간단하여 누구나 사용하기 쉽도록 되어 있으며,

1+1행사로 2024년도 프로그램과 2025년도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10,000원에 상단 메일로 주문하시면 곧바로 받아 보실수 있으니, 9급 공무원시험을 준비중인 분이나 자녀가 공무원에 합격하시기를 원하는 학부모님, 합격하면 받게 되는 보수를 구체적으로 미리 보여줘 지인들이 공부하는데 성취동기를 갖게 도와 주려는 분, 1년 예산을 미리 설계하려는 현직 공무원에게도 필요한 프로그램이니 많이 활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정리해 보면

2025년도 최저임금은 25,155,240원이지만 2025년 9급 1호봉 신규공무원의 연봉액은 32,127,240원으로 9급 신규공무원이 1년에 6,972,000원 정도를 더 받게 되었으며, 최저임금 근로자의 연봉증가액은 1.7%가 인상이 되었지만 9급 1호봉의 신규공무원의 연봉증가율은 6.7%가 증가되어
9급 신규1호봉의 월평균 실수령액은 234만원정도라는 정보를 전해 드리면서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봉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 명퇴·정퇴후 기간제 교사로 재취업시 월급은 얼마나 될까? (0) | 2025.03.30 |
---|---|
2025년 초중고 교원의 일반 공무원들에 준해 사회적,경제적 대우 (1) | 2025.03.27 |
9급 공무원 초임 월급 12% 대폭 인상하여 300만원까지 지급 (0) | 2025.03.13 |
최근 5년간 일반직 국가 공무원 직전 계급재직연수 현황 공개 (0) | 2025.02.03 |
2025년 물가상승률 2026년 공적연금인상률 전망치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