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월액 (4)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무원 32년 경력자 1년간 공무원연금 증가액 안녕하세요? 항상 창조적인 정보를 제공해 드릴려고 노력하는 연금봉급블로거입니다. 오늘은 2024년 공무원연금 32년 경력자가 1년간 기여금을 납부했을때 1년간 연금총액은 얼마나 증가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5월 현재 경력이 32.25년인 교원의 연금계산표의 일부입니다. 32.25년의 경력을 다시 말하면 32년 3개월의 의미가 되겠습니다.지난영상에서 말씀드렸듯 4월의 공무원전체 기준소득월액 544만원은 2023년의 금액이며, 2024년 공무원전체 기준소득월액 5월 금액은 552만원이되어 증가한 1.47%가 현가율이 된다고 설명을 드렸었습니다. 1기간의 연금 증가액은 결국 현가율 1.47%이므로 1기간 경력이 있는 공무원이라면 누구나 똑같이 현가율 만큼 증가하므로 4월의.. 직장인과 공무원의 연봉을 간단하고 쉽게 알아 내는 방법 소개 안녕하세요? 연금봉급TV입니다. 오늘은 나의 연봉과 타인의 연봉을 3초만에 아는 비법을 간단히 공개해 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직장인들이 매년 연말정산을 하지만 자신의 연봉을 궁금해 하면서도 얼마인지를 잘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자신이 매월 월급을 받으면서 원천징수로 떼어가는 건강보험료를 모르는 분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 핵심사항을 먼저 말씀드리면 건강보험료만 알면 3초면 직장인의 연봉을 알 수가 있는데 그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매월 납부하는 년도별 건강보험료 납부요율표입니다. 2023년 건강보험요율은 7.9%이지만 고용주와 직장인이 반반 부담하므로 직장인이 부담하는 건강보험료 납부요율은 7.9%/2를 하면 2023년 기준 3.5.. 매년 4월마다 직장인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폭탄 맞는 이유 안녕하세요? 연금봉급 블로거입니다. 곧 직장인들의 4월 월급을 받게 되실텐데 매년 4월마다 직장인인들의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시 왜 매년 많은 금액을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파헤쳐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해 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2022년 건강보험료를 월급에서 원천징수하는 1년동안의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1월부터 3월까지는 2년전인 2020년 월소득으로 건강보험료를 원천징수를 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2020년 월소득이 300만원이라고 할 때 월급에서 건강보험료를 106,350원과 장기요양보험료 13,620원을 3개월간 119,970원씩 임시로 떼어갑니다. 그런 다음 2022년 4월부터 12월까지는 2021년 소득으로 떼어가는데 월보수액이 320만원라고 할 때 건강보험료 .. 재직자의 공무원연금은1월에 왜 더 증가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직하고 있는 공무원이 연금액은 1월과 5월에 왜 더 많이 증가하냐고 문의를 주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이것에 대한 이유를 정확히 알고 있는 분들은 공무원연금에 대해 상당한 전문적 지식이 있는 분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네요. 그럼 지금부터 그 이유를 자세하고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도록 하겠는데 너무 시간과 설명이 길어지면 지루하기 때문에 오늘은 1월에 왜 평소보다 더 증가하는지에 대해서만 설명드리고, 5월에는 왜 1월보다도 더많이 증가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음영상에서 분석해 드리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오늘 소개해 드리는 일반직 공무원 상담자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나이는 54세이고, 임용된 시기는 1992.01.02.이며, 현재 일반공무원으로 경력이 30년이 되신분으로 소득을 살펴보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