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연금봉급TV입니다.
오늘은 99%의 공무원들도 모르는 물가와 공무원의 기본급중에서 어느쪽이 더 많이 오를까에 대한 깜작놀랄만한 숨은 진실을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요즘 젊은 봉급 생활자들은 물가는 천정부지로 오르는데 공무원의 봉급 인상률은 물가인상률보다 낮아서 실제적으로 봉급이 삭감된다는 말을 많은 분들이 자주하십니다.
정말 과연 그럴까요? 그럼 지금부터 그 진실을 파헤쳐 공개해 드리겠습니다.
오늘 팩트체크하기 위하여 제가 준비한 3가지 자료입니다.


팩트체크 하는데 이해를 쉽도록 하기 위해 먼저 사회에 진출하는 청년 A교사가 있다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첫째로 준비한 것은 A교사가 사회에 처음 진출했더니 본인이 소비하는 물가의 전체가격을 2,152,400원이라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둘째로 준비한 것은 공무원 봉급표 중에서 승진이 차이가 없어 꾸준히 증가하는 물가와 동일한 A교사의 초임 기본급 9호봉 금액인 2,154,400원을 준비했습니다.
셋째, 아래 차트와 같이 물가와 기본급이 2,154,400원의 상태에서 출발하여 어떻게 인상률이 변해가는지를 알기위해 나타날 차트를 준비했습니다.
공무원의 봉급은 기본급과 수당으로 정해져 있는데 공제하는 금액은 수당금액 전체와 비슷하여 실제로 받는 봉급 실수령액은 기본급 금액과 거의 비슷합니다.
그러므로 교사의 초임 기본급을 공무원의 월급이라고 전제하여 공무원이 받는 임금이 매년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물가와 비교하면 아주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비교가 될수 있겠습니다.
청년 A교사가 사회에 진출했을 때 물가와 공무원기본급을 1년씩 지날 때 마다 30년간 근무한다고 생각하고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물가가 30년 동결이 되어 0%라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당연히 동결이므로 30년이 자나도 물가는 그대로 2,152,400원이 될것입니다.
공무원 기본급도 30년간 동결이 된다면 똑같이 2,152,400원이 될까요? 0%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물가는 동결이므로 5년이 지나도 그대로 인상액은 0%입니다.
그러나 기본급은 동결이 되어도 5년이 되면 처음 기본급대비 22.9%가 인상이 되어 2,644,600원이 됩니다.
10년이 지나도 물가는 그대로 2,152,400원이지만 기본급은 48%가 올라 3,185,700원이 됩니다.
20년이 지나면 물가보다 105.2%가 더 올라 4,417,400원이 됩니다.
물가가 30년 동안 전혀 오르지 않아도 청년 A교사가 고경력자가 되면 결과는 놀라울 정도로 5,679,200원이 되어 물가보다 163.9%나 더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청년교사가 매년 물가가 동결이 된다고 해도 청년 A교사가 받는 기본급은 1년에 1호봉씩 높은 호봉으로 받기 때문에 임금은 이렇게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금액은 30년 동안 물가가 올라서 받게 되는 금액이 아니라 단지 호봉만 올라서 받게 되는 금액이 이렇게 163.9%의 차이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그렇다면 공무원의 봉급인 기본급이 동결일 때 물가만 인상된다고 한번 가정해 보겠습니다.
물가 인상률을 1%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왼쪽의 결과 수치와 오르쪽에 있는 차트를 동시에 보시면서 살펴 보면 기본급은 30년간 동결일 때 물가 1% ~ 34%까지 증가해도 기본급 인상액을 따라오지 못하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2%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30년을 보시면 물가는 81.1% 증가했는데 청년 교사의 월급은 163.9%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3%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기본급 인상률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 거의 근접하고 있음을 알수가 있겠습니다.
여기서 알수 있는 것은 30년동안 공무원 봉급이 동결되어도 매년 3%씩 물가가 인상되는 효과와 같다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즉, 호봉표 자체의 위력이 물가 3%씩 인상되는 효과가 반영이 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다음은 물가와 기본급이 같은 비율로 인상이 된다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물가1%와 기본급 1%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1년이 지나면 물가는 1%증가하고 기본급은 3.7%가 증가해서 별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5년이 지나면 물가는 5.1%증가하나 기본급이 29.1%가 증가하여 격차는 24% 더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10년 지나면 53%가 더 증가하며, 20년이 자나면 물가보다 128.4%가 더 증가하게 됩니다.
30년이 지나면 격차는 220.9% 차이로 벌어지게 됩니다.
다음은 물가가 2% 오르고 기본급이 2%가 오르는 경우를 살펴 보겠습니다.

10년만 지나도 물가는 21.9% 오르는데 기본급은 80.4%가 오르게 되어 격차는 58.5%가 됩니다.
30년이면 되면 심지어 296.8%가 차이가 나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다음은 3%일때와 기본급 3%일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30년이 되면 물가는 5,224,400원이 142.7% 올라 있으나 기본급은 540.4%가 올라 13,785,000원이 되어 무려 397.7%까지 격차가 더 벌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작년과 같이 물가는 5.1%씩 30년 오르고 공무원의 봉급인상률 1.7%씩만 오른다면 어떻게 될까요?
어느쪽이 더 많을까 한번 마음속으로 맞춰보시기 바랍니다.
물가에 5.1%를 입력하고 기본급에 1.7%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물가 인상률이 3년동안만 높다가 그 이후 28년까지는 기본급 인상률리 더 높고 29년과 30년만 물가가 약간 높아지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물가가 30년동안 5.1%씩 오르고 기본급이 1.7%씩만 올라도 전체적으로는 기본급 인상률이 더 많은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공무원의 입장에서는 물가만큼 공무원보수 인상률을 올려 주면 땡큐가 되겠네요.
지금까지 알아 보았던 이런 상관관계를 일반인들은 잘 모르고 있겠지만 공무원들도 99%정도는 이런 상관 관계를 잘 모르고 있답니다. 그러므로 이런 원리 때문에 물가를 고려해도 봉급은 항상 후배세대가 더 많이 받게 되는 것입니다.
공무원들 중에서 몰랐던 이런 정보를 알게 되신 분들은 돈드는 것 아니니 구독좀 눌러 주셔서 항상 창조적 정보를 만들어 내려고 노력하는 연금봉급TV에게 힘이 되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 내용의 결론을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나이가 들수록 지출되는 곳이 많고, 금액이 커지기 때문에 항상 봉급을 받아도 남는 것이 없는 것처럼 느끼지는 것일뿐 물가인상률 보다도 공무원기본급 인상률이 수십프로에서 수백프로까지도 더 높다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정보를 소개해 드리면서 새내기 공무원들이 많은 세울동안 근무하면서 조금이나마 힘이 되는 정보가 되기를 희망해 보면서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정보 제공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다음 포스팅에서 또 찾아 뵙기로 하고 이만 물러갑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즐겁고 행복한 나날이 되셨으면 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참고1 : 프로그램 구입처 및 가격 안내
https://cheoljukim.tistory.com/61
공무원연금 통합프로그램 및 공무원봉급 프로그램 직구가격 및 최저가 구입 방법 안내
파일 상품 특성상 메일 발송후에는 환불 및 반품이 불가하오니, 상품정보를 충분히 검토 바랍니다. 아래 상품의 지식재산권은 연금봉급TV에 있으며, 사용자가 무단전재 및 재배포, 재판매를 할
cheoljukim.tistory.com
참고2 : 공무원연금통합프로그램 안내
https://cheoljukim.tistory.com/62
공무원연금 통합프로그램 ver2024 출시(교원용, 공무원용, 경찰용, 사학연금용,교수님용)
7년에 걸쳐 연구하고 고생해서 만든 공무원연금 퇴직수당 명퇴금 프로그램으로 3가지고 모두 통합되어 있는 엑셀, 한셀프로그램입니다. 공무원연금 퇴직수당 명퇴금 통합프로그램은 매년 1년전
cheoljukim.tistory.com
'공무원봉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공무원보수 등의 업무지침 (0) | 2023.07.03 |
---|---|
2024년 공무원봉급 정부안 3.8% ~ 4.3%로 처우개선 가능? (0) | 2023.07.02 |
교원 급여명세서 평생 40년치 3분완성(비타민 같은 프로그램) (0) | 2023.03.30 |
신규 7급 공무원 37년간 월급표 및 연봉표 공개 (5) | 2023.03.21 |
교사 경력 13년후면 3급공무원 호봉표와 같아 진다. (0) | 2023.03.13 |